주식계좌의 주식평가 금액을 확인하려면 HTS, MTS를 열어서 확인하면 됩니다. 하지만 자녀 이름으로 된 계좌를 개설한 경우 자녀 폰에 MTS를 설치해서 확인하라고 하면 다른 문제도 발생할 수 있을 것 같고, 매번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확인하는 것도 번거로운 일입니다. 그래서 네이버에서 간단히 주식평가 금액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방법은 자녀 증권계좌가 아니더라도 본인 증권계좌의 평가금액도 별도의 로그인 없이 간단히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방법은 아니며 네이버에 개좌를 연결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에 증권계좌를 연결하는 방법을 하나씩 확인해 보겠습니다.
네이버에 증권계좌 연결하기
1. 네이버 앱에서 우측 상단에 [ N Pay ]를 터치 합니다.
2. [ N Pay ]의 [내 지갑]에서 아래 쪽에 보시면 [증권계좌]가 있습니다. 터치 합니다.
* 보시면 증권계좌 외에도 은행계좌, 카드사용 내역 등도 연결하여 네이버 앱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미래에셋 CMA 계좌는 비대면 계좌 개설하기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증권계좌 연결을 계속 확인해 보겠습니다.
3. 연결할 증권사를 선택합니다.
시장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증권사와 연결이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한번에 여러 증권사와 연결도 가능합니다.
우리는 자녀가 핸드폰으로 본인의 증권계좌의 주식평가 금액을 편하게 보는게 목적입니다.
당연히 핸드폰에 공인인증서는 없겠죠. 앞으로 계속 확인해 보겠지만 공인인증서가 없더라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는 신한금융투자를 선택했습니다.
4. 증권사 ID 입력
앞서 이야기 했지만 공인인증서가 없는 상태에서 연결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대신에 [증권사 ID]가 필요합니다.
증권사 ID를 선택하시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연결합니다.
5. 연결된 계좌의 비밀번호 입력
계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 버튼을 터치합니다.
지금 입력한 증권사 ID, 비밀번호, 계좌비밀번호는 등록시 한번만 입력하면 됩니다.
자녀가 이것들을 계속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계속 가겠습니다.
이제 다 왔습니다.
6. 조회된 증권계좌 확인하고 연결하기
조회된 증권계좌을 확인하시고 연결하기 버튼을 터치합니다.
다왔습니다.
아니, 끝났습니다.
결과 보겠습니다.
7. 연결된 증권계좌 확인.
이제는 [ N Pay ]의 내지갑에서 연결된 계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빠! 현대차 왜이래?
현대차 실적도 좋고, 수소차 해서 오를꺼라며?!
글쎄....
현대차 회장이 바꼈는데....
그 회장이 현대차 주식이 거의 없데...
그래서 회장이 현대차 주식을 사야 하는데....
비싸니까....
아.......
아들, 기다려보자.